블로그 rss 꼭 써야할까?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차이 ?alt=rss
1. rss란 무엇인가.
2. rss는 언제 필요할까.
3. rss가 구글 SEO에 미치는 영향
4. 티스토리, 블로그스팟에서 rss 주소 찾는 법
5. RSS 구독버튼 블로그에 넣는 법
6. 구글 서치콘솔에 RSS 제출하는 방법
7. 자주 묻는 질문
8. 마무리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에서 RSS 주소 찾는 방법부터 구독 버튼 넣는 법까지!
컴맹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으로 블로그 방문자 늘리기.
1. rss란 무엇인가.
RSS는 블로그에 새 글이 올라올 때마다 구독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해,
-
신문 배달부가 매일 신문을 집 앞에 가져다주는 것처럼
-
RSS는 새 글을 자동으로 배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rss 언제 필요할까.
왜 필요한가요? 구독을 위해 필요합니다.
블로그에 아무리 좋은 글을 써도 사람들이 들어오지 않으면 소용없습니다.
RSS 구독 버튼을 달아놓으면 한 번 구독한 사람들이 새 글을 놓치지 않고 읽게 됩니다.
특히, 티스토리·블로그스팟 블로그는 RSS 주소가 기본 제공돼서 어렵지 않게 설정할 수 있어요.
3. rss가 구글 SEO에 미치는 영향
RSS는 검색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아요.
구글은 이미 사이트맵(sitemap.xml)과 내부링크 구조를 주요 크롤링 기준으로 삼습니다.
RSS는 부가적인 크롤링 도움 도구로 인식될 뿐입니다.
-
RSS는 검색 알고리즘의 순위 결정 요소(랭킹 팩터)가 아닙니다.
-
구글은 RSS 제출 여부를 가지고 검색순위를 올리거나 내리진 않습니다.
하지만 간접적으로 SEO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간접적인 SEO 도움 효과
-
검색 색인 속도 향상
-
RSS 피드를 구글 서치콘솔에 제출하면 구글 봇이 내 블로그 새 글을 더 빠르게 발견합니다.
-
👉 새 글 색인이 빨라지면 이슈 키워드 대응력이 올라감
-
-
콘텐츠 구조 파악 용이
-
RSS는 내 블로그의 콘텐츠 구조(제목, 요약, 링크)를 구글 크롤러에 명확하게 알려줍니다.
-
👉 구글이 내 블로그를 이해하기 쉬워져서 색인 품질 향상
-
-
꾸준한 트래픽 확보 → SEO에 긍정적 신호
-
RSS 구독자는 내 새 글이 뜨면 바로 유입되므로 체류시간과 클릭률 개선에 도움.
-
👉 이런 사용자 행동 데이터가 긍정적이면 장기적으로 SEO에도 좋은 영향
-
4.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에서 rss 주소 찾는 방법
티스토리 RSS 주소 찾기
티스토리는 아주 간단합니다.
-
내 블로그 주소 뒤에
/rss
만 붙이면 됩니다.-
예시)
https://내블로그주소.tistory.com/rss
-
-
이 주소를 구독 앱이나 RSS 리더기에 등록하면 끝!
블로그스팟 RSS 주소 찾기
블로그스팟은 조금 다릅니다.
-
기본 피드 주소는
feeds/posts/default
입니다.-
예시)
https://내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
-
-
하지만 일부 구독 앱에서는 이 주소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어요.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할 Atom과 RSS 2.0의 차이 때문입니다.
4-1) Atom 형식과 RSS 2.0 형식의 차이
블로그스팟 주소를 보면 두 가지 버전이 있어요.
-
✅ feeds/posts/default → 기본 Atom 형식
-
✅ feeds/posts/default?alt=rss → RSS 2.0 형식
Atom 형식이란?
-
Atom은 구글 블로그스팟의 기본 피드 형식입니다.
-
최신 표준으로 만들어졌고, 기술적으로는 RSS보다 조금 더 발전된 형태예요.
-
하지만 문제는… 일부 구독 앱과 서비스가 Atom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에요.
RSS 2.0 형식이란?
-
RSS 2.0은 오래전부터 쓰여온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드 형식입니다.
-
거의 모든 RSS 리더기가 지원하므로 호환성이 아주 높아요.
-
그래서 alt=rss를 붙여서 RSS 2.0으로 변환하면 오류 없이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잘 작동합니다.
형식 | 특징 | 사용 권장 상황 |
---|---|---|
Atom | 구글 기본 형식, 최신 표준 | 구글 계열 서비스 이용 시 |
RSS 2.0 | 오래된 표준, 호환성 최고 | 대부분의 RSS 리더기 사용 시 |
4-2) RSS 리더기란 무엇인가요.
RSS 리더기는 여러 블로그의 새 글을 한곳에서 모아서 볼 수 있게 해주는 앱이나 프로그램이에요.
쉽게 말하면?
-
좋아하는 블로그들을 한 번에 등록하면,
-
새 글이 올라올 때마다 RSS 리더기에 알림이 뜨는 시스템입니다.
대표적인 RSS 리더기
-
Feedly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
-
Inoreader (한글 지원, 무료 플랜 있음)
-
Reeder (아이폰·맥 사용자 추천)
주의할 점
블로그스팟의 기본 Atom 형식은 일부 리더기에서 안될 수 있으니, RSS 2.0 형식 주소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5. RSS 구독 버튼 블로그에 넣는 방법 (티스토리, 블로그스팟)
티스토리
티스토리는 블로그 기본 기능에 이미 구독 버튼이 포함되어 있어요.
그래서 굳이 따로 “구독 버튼”을 추가하지 않아도 됩니다.
블로그스팟(Blogger)
블로그스팟은 기본적으로 RSS 구독 기능이 숨겨져 있어서 Feed 가젯을 추가해줘야 해요.
-
블로그에 다른 사이트의 RSS/Atom 피드를 불러와 보여주거나,
-
내 블로그의 피드 주소를 등록해서 구독 버튼 역할을 대신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블팟 Feed 가젯 설정 방법
-
디자인 → Add a Gadget → Feed 선택
-
내 블로그의 피드 주소 입력
-
기본 주소:
https://내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
-
“Save”를 눌러 사이드바에 추가
이렇게 하면 내 블로그 사이드바에 최신 글 목록과 함께 구독용 링크가 표시돼서 RSS 구독이 쉬워집니다.
6. 구글 서치콘솔에 RSS 제출하는 방법
6-1) 티스토리
6-2) 블로그스팟
7. 자주 묻는 질문 QNA
Q1. RSS 주소를 넣어도 구독이 안돼요. 왜 그런가요?
?alt=rss
를 붙여서 (https://내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Q2. RSS 버튼을 클릭하면 코드만 보여요. 정상인가요?
Q3. RSS로 방문자가 많이 늘어나나요?
8. 마무리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블로그 모두 RSS 주소 설정만 잘해도 고정 구독자를 확보할 수 있고, 구글 서치콘솔에 RSS를 등록하면 검색 노출 속도까지 빨라집니다.
티스토리는 /rss
만 추가하면 간단하게 끝나고,
블로그스팟은 feeds/posts/default?alt=rss
형식으로 제출해야 더 안정적입니다.
요즘처럼 콘텐츠가 넘쳐나는 시대에는 한 명의 구독자가 열 명의 검색 유입만큼 중요합니다. 오늘 바로 내 블로그에 RSS 구독 기능을 점검하고, 구글 서치콘솔에도 등록해보세요.
꾸준한 방문자 확보와 검색 상위 노출, 둘 다 잡을 수 있는 첫걸음입니다.
맨위로
댓글
댓글 쓰기
댓글은 예의 있게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