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el="canonical' 태그는 무엇인가?
1-1) rel="canonical"태그는 숨어있다.
1-2) 찾는 방법
1-3) rel="canonical"태그의 목적
1. rel="canonical"
태그는 무엇인가?
rel="canonical"
은 HTML 코드 안에 있는 일종의 **'지시문'**입니다. 마치 "이 글의 원본은 바로 이 주소야"라고 구글에게 알려주는 꼬리표와 같습니다.
이 태그는 사용자 눈에는 보이지 않고, 오직 검색 엔진(구글)만 읽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서치 콘솔 화면에서는 이 태그 자체가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1-1) rel="canonical"
태그는 숨어 있다.
https://www.amarasolena.com/?m=1
은 모바일 페이지의 주소이며, 이 주소는 rel="canonical"
태그가 아닙니다.
이 모바일 페이지의 HTML 코드 안에는 다음과 같은 rel="canonical"
태그가 숨어 있습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amarasolena.com/" />
이 코드는 구글에게 "이 페이지(?m=1
)의 원본은 https://www.amarasolena.com/
이니, 원본 페이지를 색인해라"라고 알려주는 것입니다.
1-2) 찾는 방법
rel="canonical"
태그의 실체를 직접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1. 웹주소창에 본인의 주소를 치세요.
(https://본인의 주소/?m=1)
2. ctrl + U (소스 보기)를 누르고, ctrl +F (검색하기)를 차례로 누르세요.
3. 작은 검색창이 나오면 canonical 을 입력하세요.
4. canonical 이 표시된 코드가 몇 개 나옵니다.
1-3) rel="canonical" 태그의 목적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중복 콘텐츠 문제 해결: 한 페이지의 내용이 여러 다른 URL로 접속될 때, 검색 엔진이 어떤 페이지를 색인해야 할지 혼란스러워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SEO 가치 통합: 여러 중복된 페이지에 분산될 수 있는 검색 순위와 링크 점수 등을 하나의 원본 페이지로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블로그스팟의
?m=1
모바일 페이지가 이 태그를 사용하여 원본 PC 페이지를 가리키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구글은?m=1
페이지를 크롤링하더라도,rel="canonical"
태그를 보고 원본 페이지를 검색 결과에 노출시킵니다.
(위에 설명했듯, 웹주소창에 https://내 블로그 주소/?m=1을 입력하여 페이지 소스를 확인해보세요. canonical을 찾았을 때 <link rel="canonical" href="https://내 블로그주소/" />가 보일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rel="canonical"
태그는 오류가 아니라 SEO를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1-4) h3세부 항목
1-5) h3세부 항목
2. h2핵심 내용
2-1) h3세부 항목
이곳에
2-2) h2세부 항목
여기엔
2-3) h2세부 항목
여기엔
2-4) h2세부 항목
여기엔
3. h2핵심 내용
3-1) h3세부 항목
이곳에
3-2) h2세부 항목
여기엔
3-3) h2세부 항목
여기엔
3-4) h2세부 항목
여기엔
4. h2핵심 내용
4-1) h3세부 항목
이곳에
4-2) h2세부 항목
여기엔
4-3) h2세부 항목
여기엔
4-4) h2세부 항목
여기엔
5. h2핵심 내용
5-1) h3세부 항목
이곳에
5-2) h2세부 항목
여기엔
5-3) h2세부 항목
여기엔
5-4) h2세부 항목
여기엔
📊 초록색 헤더 표
📊 노랑색 헤더 표
📊 h2주황색 헤더 표
3. h2요약 정리
원하는 제목
👉 클릭해서 확인하세요!
맨위로
0 댓글
댓글은 예의 있게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