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rss 꼭 써야할까?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차이 ?alt=rss

이미지
📌 목차 1. rss란 무엇인가. 2. rss는 언제 필요할까. 3. rss가 구글 SEO에 미치는 영향 4. 티스토리, 블로그스팟에서 rss 주소 찾는 법 5. RSS 구독버튼 블로그에 넣는 법 6. 구글 서치콘솔에 RSS 제출하는 방법 7. 자주 묻는 질문 8. 마무리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에서 RSS 주소 찾는 방법부터 구독 버튼 넣는 법까지!  컴맹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으로 블로그 방문자 늘리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내 글을 더 많은 사람들이 꾸준히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 다들 한 번쯤 해보셨죠?  하지만 요즘은 사람들이 일일이 블로그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고정 독자 확보 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RSS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RSS란 무엇인지, 주소 찾는 방법, Atom과 RSS 2.0의 차이, RSS 리더기,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1. rss란 무엇인가. RSS 는 블로그에 새 글이 올라올 때마다 구독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해, 신문 배달부가 매일 신문을 집 앞에 가져다주는 것처럼 RSS는 새 글을 자동으로 배달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rss 언제 필요할까. 왜 필요한가요? 구독을 위해 필요합니다. 블로그에 아무리 좋은 글을 써도 사람들이 들어오지 않으면 소용없습니다.  RSS 구독 버튼을 달아놓으면 한 번 구독한 사람들이 새 글을 놓치지 않고 읽게 됩니다.  특히, 티스토리·블로그스팟 블로그 는 RSS 주소가 기본 제공돼서 어렵지 않게 설정할 수 있어요. 3. rss가 구글 SEO에 미치는 영향 RSS는 검색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아요. 구글은 이미 사이트맵(sitemap.xml)과 내부링크 구조 를 주요 크롤링 기준으로 삼습니다. RSS는 부가적인 크롤링 도움 도구 로 인식될 뿐입니다. RSS는...

HTML CSS란 무엇인가? HTML과 CSS 차이

이미지
📌 목차 1. HTML의 역할: 블로그의 뼈대 만들기 2. CSS (cascading style sheets) = 옷 3. HTML과 CSS의 관계 티스토리 HTML, CSS 그리고 파일업로드의 차이와 역할을 알아보세요. 초보 블로거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웹 구조와 디자인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이제 막 블로그를 시작한 저로서는 모르는 게 너무 많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스팟 등 기본틀이 잡혀있는 시스템을 쓰면서도 모르는 것 투성이입니다.  글을 쓰다 보면 “HTML 편집”, “CSS 수정”, “파일 업로드” 같은 단어가 종종 눈에 띄는데요. 막상 클릭해보면 뭔가 어려운 코드들이 잔뜩 나와서 도망치고 싶어집니다.  글은 티스토리의 경우 기본모드로, 블로그스팟에서는 compose view로 편하게 쓰면 되는데요, 그래도 표를 만들거나 버튼을 만들때, 이미지 크기 등을 봐야할 때는 html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하나도 몰랐지만 글을 쓰며 확인하고, 반복적으로 보고 사용하다 보니 패턴이 읽혀지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HTML이 무엇인지, CSS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기본 개념만 조금 정리해보았습니다. 이것만 알아도 마음이 많이 편안해지실거예요. 1. HTML의 역할: 블로그의 뼈대 만들기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 의 줄임말이에요. 쉽게 말하면 웹페이지의 구조와 뼈대를 만드는 언어 입니다. 예를 들어, 제목이 어디 있는지 본문 내용이 어디부터 시작되고 어디서 끝나는지 사진, 표, 버튼이 페이지에서 어느 위치에 들어가는지 이런 것들을 HTML 이 정해줍니다. 비유를 하자면, 웹사이트를 하나의 건물이라고 하면, HTML은 건물의 기둥과 벽, 방의 배치를 정하는 설계도입니다. <h1>이것은 큰 제목입니다</h1> <p>이것은 본문 내용입니다.</p...

티스토리 모바일 버전에서 버튼 깨짐 현상 해결 방법 + 버튼코드 안내

이미지
📌 목차 1. 모바일 버전 버튼 깨짐의 원인 2. 반응형 디자인 3. 모바일 버전 버튼 깨짐이 있는 글의 수정 방법 두 가지 4. 모바일 화면 테스트 5. 마무리 당신의 블로그의 버튼, 모바일에서 깨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PC 화면에서는 멀쩡한 버튼이 모바일 화면에서 깨져 보이거나 글자가 잘려 나가는 현상을 겪게 됩니다.  특히 티스토리와 블로거(Blogger) 플랫폼을 함께 사용하는 운영자라면 이러한 문제로 고민한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닐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티스토리 모바일 버튼 깨짐 문제의 원인과 해결법을 알아보고, 초보 블로거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수정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모바일 버전 버튼 깨짐의 원인 모바일 버튼 깨짐 현상은 주로 버튼 코드의 폭(width) , 패딩(padding) , 그리고 디스플레이(display) 방식 때문에 발생합니다. PC에서는 충분한 여백 덕분에 버튼 안의 글자가 잘 보입니다. 모바일에서는 화면 폭이 좁아지면서 버튼 안쪽 여백이 과도해지거나 고정된 폭 때문에 텍스트가 밀려 잘리게 됩니다. 특히 <a style="..."> 방식으로 스타일을 직접 입력한 버튼들은 모바일 반응형 CSS 규칙과 충돌하여 문제가 더 잘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치하면 모바일 사용자들이 버튼을 클릭하기 불편해지고, 나아가 블로그의 사용자 경험(UX)과 애드센스 수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1) 폭 (width)이란? 버튼의 가로 길이 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width: 300px 처럼 픽셀로 고정하면, PC 화면에선 괜찮지만 모바일에선 화면보다 넓거나 너무 좁아져 깨짐 현상이 생깁니다. 따라서 해결책으로는 : width: 100%; max-width: 340px; → 폭을 화면에 맞게 자동 조절하면서 최대폭을 제한해요. 1-2) 패딩 (padding)이란? 버튼 안의 텍스트와 테두리 사이의 여백 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padding...

구글 애드센스의 새기능 빈 페이지 광고 채우기

이미지
📌 목차 1. 빈 페이지 광고 채우기란 무엇인가요? 2. 구글 애드센스의 새 기능, 왜 중요한가요? 3. 빈 페이지 광고 공간 채우기 예시 4. 자동 적용 및 해제 방법 5. 퍼블리셔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6. 마무리: 빈 광고 공간도 수익의 기회로! 구글 애드센스(AdSense)가 퍼블리셔의 수익 보호와 광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추가되는 기능은 바로 '빈 광고 공간 채우기(Fill empty in-page ads)'입니다.  이 기능은 앞으로 30일 이내에 모든 퍼블리셔에게 자동으로 적용될 예정이며, 퍼블리셔의 광고 공간 최적화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기능이 무엇인지, 퍼블리셔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원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해제할 수 있는지까지 하나하나 정리해보겠습니다. 1. '빈 페이지 광고 채우기'란 무엇인가요? 구글이 발표한 'Fill empty in-page ads' 기능은 페이지 내 광고 공간이 비어있을 때 이를 자동으로 채워주는 최적화 기능입니다. 기존에는 광고 요청 시 광고주가 없거나 입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페이지의 광고 슬롯이 공백 상태로 남아있었죠. 하지만 이제 이 기능을 통해 콘텐츠와 관련된 제안 또는 다른 형태의 광고 콘텐츠 가 빈 공간을 채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가 베이킹 관련 주제라면 빈 광고 공간에 베이킹 재료나 요리 도구에 대한 제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이러한 제안을 클릭하면, 해당 제안과 연관된 디스플레이 광고가 표시되어 클릭 수익으로 연결됩니다. 2.   구글 애드센스의 새 기능, 왜 중요한가요? 이 기능의 핵심은 퍼블리셔가 빈 광고 공간으로 인한 수익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퍼블리셔 입장에서 페이지 로딩 시 광고가 노출되지 않으면 잠재적 수익 기회가 사라지는데, 이번 기능으로 이 공백을 채울 수 있어 수익 최적화에 ...

2025.8.25 AFS 제한 기능 도입. 구글 애드센스 정책변경 정리

이미지
📌 목차 1. AFS란? 검색용 애드센스 이해하기 2. RAF란? 제한된 액세스 기능의 정체 3. 어떤 기능이 제한될 수 있는가? 4. 스트라이크 제도 5. 일반 블로거의 영향은? 6. 결론 최근 Google AdSense로부터 "AFS는 제한된 액세스 기능(RAF)을 출시합니다"라는 메일을 받았습니다. "AFS가 뭐고, RAF는 또 무슨 기능인지?" 혼란스러워서 제가 찾아보고 그 내용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이 글에서는 AFS와 RAF의 의미 , 누가 대상인지 , 일반 블로거에게 영향이 있는지 , 그리고 정책 위반 시 어떤 제한이 적용되는지 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해봅니다 . 1. AFS란? 검색용 애드센스 이해하기 AFS(AdSense for Search)는 이름 그대로 " 검색 결과에 광고를 삽입하는 애드센스 기능 "입니다. 즉, 사용자가 사이트 내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 결과와 함께 Google이 제공하는 광고가 노출 되는 방식이죠. AFS는 어떤 경우에 쓰이나요? 커스텀 검색 기능이 있는 대형 포털이나 커뮤니티 사이트 사이트 자체에 Google 맞춤검색창(Custom Search Engine)을 삽입한 경우 검색 결과 페이지 내 광고 수익을 얻고 싶은 파트너 일반 블로거는 보통 "콘텐츠용 광고(Display ads)"만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AFS는 다소 전문적인 기능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RAF란? 제한된 액세스 기능의 정체 RAF(Restricted Access Features)는 Google이 2025년 8월 25일부터 AFS 사용자에게 적용하는 제한 조치 시스템 입니다. 도입 배경은? Google은 AFS 환경에서: 정책 위반 광고, 과도한 사용자 지정 스타일, 무분별한 다중 검색어 삽입 등 검색 품질 저하 이슈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RAF 시스템을 도입해 양호한 파트너...

티스토리 글쓰기 모드 차이점 정리 - 기본모드 마크다운 html

이미지
목차 1. 기본모드 2. 마크다운 모드 3. html 모드 4. 어떤 모드를 사용하면 좋을까? 5. 마무리 티스토리를 처음 쓰는 분들이 가장 많이 헷갈려하는 것 중 하나가 글쓰기 화면에 있는 기본모드 / 마크다운 / HTML이라는 세 가지 편집 방식입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편집방식이 다르다고만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모드에 따라 글의 구성 방식, 수정 가능 범위, 외부 코드 삽입 가능성 이 완전히 달라지므로 각 모드의 특성과 장단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 시 자주 사용하게 되는 글쓰기 모드 3가지의 개념과 차이점 , 그리고 상황에 따라 어떤 모드를 선택하면 좋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기본모드: 마우스로 편하게 글을 쓰는 위지윅 (WYSIWYG) 방식 ‘기본모드’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나 네이버 블로그 에디터처럼 직관적인 편집 방식 입니다. ‘위지윅(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이라 불리는 방식으로, 눈에 보이는 대로 글을 쓰면 그대로 저장됩니다. ✅ 특징 마우스로 굵은 글씨, 링크, 정렬, 색상 등 손쉽게 적용 가능 표, 이미지, 목차 등 시각적 구성도 편리하게 만들 수 있음 코딩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글 작성 가능 ❗ 한계 복잡한 레이아웃이나 애드센스 코드 삽입 등은 제약이 있음 디자인이나 정밀 제어가 어려움  추천 대상 블로그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 정보성 글을 빠르게 작성하고 싶은 분 2. 마크다운 모드: 기호로 구성하는 간단한 문법 마크다운(Markdown)은 텍스트 기반의 글쓰기 포맷입니다. # , * , [링크] 등의 기호를 이용해 글의 제목, 굵은 글씨, 기울임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장점 HTML보다 훨씬 간단한 문법으로 구조화된 글 작성 가능 개발자나 기술 블로거에게 유용 글 내용을 Markdown 포...

Google Search Console 구글서치콘솔 등록시 sitemap 사이트맵 오류 해결 방법

이미지
📌 목차 1. 구글 서치콘솔,  꼭 등록해야 하는 이유 2. Sitemap.xml의 역할: 구글에 우리 블로그의 '목차'를 알리는 일 3. RSS 피드의 역할 4. sitemap.xml 제출 시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 5. 해결 방법: sitemap 오류 발생 시 이렇게 하세요. (블로그스팟 기준) 6. 마무리 Google Search Console(서치콘솔)은 블로그 글이 검색엔진에 잘 노출되도록 도와주는 필수 도구입니다. 블로그스팟 (Blogger, 구글 블로거) 을 운영하면서도, 제대로 등록하고 설정하지 않으면 좋은 글을 써도 검색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Blogspot 블로그스팟 블로그에서 겪은 사례를 바탕으로 sitemap 제출 시 발생하는 오류 원인과 해결방법, 그리고 RSS와 sitemap의 차이까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1. 서치콘솔 등록, 꼭 등록해야 하는 이유 Blogspot 블로그스팟 블로그는 기본적으로 구글의 플랫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치콘솔에 등록하지 않으면 내 블로그 글이 검색에 노출되는 속도가 매우 느려지거나 누락 될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을 등록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전체 색인 상태 확인 가능 사이트맵 제출을 통한 빠른 글 노출 검색 유입 키워드 분석 구조화 데이터 오류 등 기술적 문제 확인 2. sitemap.xml이 하는 역할 sitemap.xml 은 말 그대로 내 블로그의 "지도"입니다. 검색엔진이 블로그의 구조를 빠르게 이해하고, 어떤 글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도와줍니다. https://내 블로그주소.com/sitemap.xml sitemap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담깁니다: 각 글의 주소(URL) 최종 수정일(dateModified) 우선순위(priority) 및 변경 빈도(changefre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