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rss 꼭 써야할까?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차이 ?alt=rss

이미지
📌 목차 1. rss란 무엇인가. 2. rss는 언제 필요할까. 3. rss가 구글 SEO에 미치는 영향 4. 티스토리, 블로그스팟에서 rss 주소 찾는 법 5. RSS 구독버튼 블로그에 넣는 법 6. 구글 서치콘솔에 RSS 제출하는 방법 7. 자주 묻는 질문 8. 마무리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에서 RSS 주소 찾는 방법부터 구독 버튼 넣는 법까지!  컴맹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으로 블로그 방문자 늘리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내 글을 더 많은 사람들이 꾸준히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 다들 한 번쯤 해보셨죠?  하지만 요즘은 사람들이 일일이 블로그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고정 독자 확보 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RSS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RSS란 무엇인지, 주소 찾는 방법, Atom과 RSS 2.0의 차이, RSS 리더기,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1. rss란 무엇인가. RSS 는 블로그에 새 글이 올라올 때마다 구독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해, 신문 배달부가 매일 신문을 집 앞에 가져다주는 것처럼 RSS는 새 글을 자동으로 배달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rss 언제 필요할까. 왜 필요한가요? 구독을 위해 필요합니다. 블로그에 아무리 좋은 글을 써도 사람들이 들어오지 않으면 소용없습니다.  RSS 구독 버튼을 달아놓으면 한 번 구독한 사람들이 새 글을 놓치지 않고 읽게 됩니다.  특히, 티스토리·블로그스팟 블로그 는 RSS 주소가 기본 제공돼서 어렵지 않게 설정할 수 있어요. 3. rss가 구글 SEO에 미치는 영향 RSS는 검색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아요. 구글은 이미 사이트맵(sitemap.xml)과 내부링크 구조 를 주요 크롤링 기준으로 삼습니다. RSS는 부가적인 크롤링 도움 도구 로 인식될 뿐입니다. RSS는...

2025.8.25 AFS 제한 기능 도입. 구글 애드센스 정책변경 정리

📌 목차

1. AFS란? 검색용 애드센스 이해하기

2. RAF란? 제한된 액세스 기능의 정체

3. 어떤 기능이 제한될 수 있는가?

4. 스트라이크 제도

5. 일반 블로거의 영향은?

6. 결론
구글 애드센스 afr raf

최근 Google AdSense로부터 "AFS는 제한된 액세스 기능(RAF)을 출시합니다"라는 메일을 받았습니다.


"AFS가 뭐고, RAF는 또 무슨 기능인지?" 혼란스러워서 제가 찾아보고 그 내용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이 글에서는 AFS와 RAF의 의미, 누가 대상인지, 일반 블로거에게 영향이 있는지, 그리고 정책 위반 시 어떤 제한이 적용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해봅니다.


애드센스 정책변경 안내


1. AFS란? 검색용 애드센스 이해하기

AFS(AdSense for Search)는 이름 그대로 "검색 결과에 광고를 삽입하는 애드센스 기능"입니다.


즉, 사용자가 사이트 내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 결과와 함께 Google이 제공하는 광고가 노출되는 방식이죠.


AFS는 어떤 경우에 쓰이나요?

  • 커스텀 검색 기능이 있는 대형 포털이나 커뮤니티 사이트

  • 사이트 자체에 Google 맞춤검색창(Custom Search Engine)을 삽입한 경우

  • 검색 결과 페이지 내 광고 수익을 얻고 싶은 파트너


일반 블로거는 보통 "콘텐츠용 광고(Display ads)"만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AFS는 다소 전문적인 기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RAF란? 제한된 액세스 기능의 정체

RAF(Restricted Access Features)는 Google이 2025년 8월 25일부터 AFS 사용자에게 적용하는 제한 조치 시스템입니다.


도입 배경은?

Google은 AFS 환경에서:

  • 정책 위반 광고,

  • 과도한 사용자 지정 스타일,

  • 무분별한 다중 검색어 삽입 등


검색 품질 저하 이슈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RAF 시스템을 도입해 양호한 파트너만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제한하게 됩니다.



3. 어떤 기능이 제한될 수 있는가?

RAF는 단순히 광고 노출을 막는 것이 아니라, 광고 단위의 세부 기능을 제한합니다.

 기능 영역 제한 내용 
related search  최대 5개 검색어만 표시 가능.
단일 단위만 허용 
사용자화  폰트, 여백, 높이, 아이콘 등 세부 스타일 변경 차단 
 보고서 기존 채널 삭제 후 1~500번 숫자형 새 채널만 사용 
 클릭 추적 특정 ID 별 클릭 로그 수집 기능 비활성화 



4. 스트라이크 제도 도입

RAF 시스템에서는 스트라이크(Strike)라는 제재 시스템이 함께 도입됩니다.

이는 일정 수준의 정책 위반이 누적될 경우, RAF 권한을 단계적으로 박탈하는 방식입니다.


스트라이크 누적에 따른 상태 변화
누적 위반   계정 상태  제한 내용
1회 위반  probation (유예)  기능 유지되나 모니터링 대상 
 2회 위반 restricted (제한됨)  90일 간 RAF 기능 사용 불가 
3회 위반  revoked (영구 박탈)   RAF 기능 영구 사용 금지

 

특히 중대한 위반 1건 만으로도 바로 revoked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회복이 불가능합니다.



5. 일반 블로거에게의 영향

대부분의 블로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되므로, 이번 변경사항에 영향이 없습니다.

  • 검색창을 직접 삽입한 적이 없음

  • 애드센스 광고 유형에 "Search ads" 또는 "Related search" 항목이 보이지 않음

  • 주로 Display ads, In-article ads 등을 활용 중


확인 방법

  1. AdSense에 로그인

  2. 광고 → 광고 단위 생성 페이지로 이동

  3. 광고 유형에 "Search ad" 항목이 없다면 AFS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계정입니다.


다음의 사진에서 보다시피 4가지 항목만 보이고 search ad (검색광고)는 보이지 않으면 AFS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계정입니다.


ad lists


6. 결론

AFS는 검색 결과 광고용 기능이며, 일반 블로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RAF는 AFS 사용자 중 정책 위반 방지를 위한 기능 제한 시스템입니다.

본인의 AdSense 계정에서 AFS 항목이 없다면, RAF 메일은 단순한 참고용입니다.

향후 AFS 기능을 요청하거나, 검색광고 관련 수익모델을 시도할 경우 RAF 조건이 적용됩니다.



맨위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Google Search Console 구글서치콘솔 등록시 sitemap 사이트맵 오류 해결 방법

블로그 글쓰기를 도와주는 무료 IT tool 툴 탑 10

티스토리 글쓰기 모드 차이점 정리 - 기본모드 마크다운 html